우리가 제사를 반대하는 이유 > 기독교자료모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자료모음 > 기독교자료모음
기독교자료모음
기독교자료모음

우리가 제사를 반대하는 이유

본문

                  
우리가 제사를 반대하는 이유


어떤 사람들은 "제사를 지내면 죽은 조상들이 와서 차려 놓은 음식을 먹고 간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사람은 한 번 죽으면 이 세상에 다시는 올 수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ᅟ •ً 사람은 죽으면 즉시 하늘나라 아니면 지옥으로 간다(눅 16:19-31).
우리는 지옥에서의 절규때문에라도 제사를 지내면 안됩니다. 지옥에서 고통당하는 혼들에게 먹지도 못하는 음식으로 약올리는 것이 아닌가? 죽은 조상은 절대로 다시 돌아올 수 없습니다.

그 대신 제사지낼 때 오는 것은 마귀들입니다.

"그러나 내가 말하노니, 이방인들이 제사하는 것은 마귀들에게 하는 것이지 하나님께 하는 것이 아니니라. 나는 너희가 마귀들과 교제하는 자들이 되는 것을 바라지 아니하노라(고전 10:20)"

이 말씀에 따르면 제사를 지낼 때 조상들이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죄짓게 만들고 병을 주며 살인하게 만들고 도둑질하게 만들고 음란하게 만드는 마귀가 온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사를 자주 지내는 사람들은 마귀와 교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남을 참소하게 되고(계 12:10), 대적하며(벧전 5:8), 약해지고(요일 2:13), 거짓말하게 되며(요 8:44), 병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절대로 제사를 지내면 안됩니다. 그것은 바로 마귀와 교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혹자는 그런 생각을 가지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기독교가 그토록 효도의 종교라면, 왜 교회에서는 제사를 지내지 말라고 하는가? 어불성설이 아닌가?"라고 말입니다.

효도하라고 하면서 효도의 한 방법인 조상제사를 금하는 것은 어불성설 같이 여겨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은 우리 기독교가 이 일로 인해 불신자 분들에게 많은 오해와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기독교인들은 부모도, 조상도 모르는 불효자들"이니 "기독교는 좋은데 제사를 안 지내서 나쁘다"느니 하는 비판과 때로는 비방에 가까운 오해를 받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모두가 효에 대한 방법과 조상제사에 대한 오류에서 비롯된 것이며, 기독교를 바로 이해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습니다. 즉 제사의 방법에 있어서 우리나라 전통 양식과의 차이가 있을 뿐 제사와 유사한 의식이 기독교에도 나름대로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 기독교에서는 추도식 또는 추모식이라 부르지요.

우리 기독교에서도 부모님이 돌아가신 날을 기념하여 당일에 후손들이 모여서 부모님의 은공을 기리며 유훈을 되새기고, 불효한 지난 날을 참회하면서 경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단지 차이란 음식을 차리지 않는 것과 절을 하지 않는 것인데, 이것도 좀 더 깊이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종교마다 표방하는 바 진리가 다르고 의식이 다른 것처럼, 조상제사도 종교가 다른 만큼 이를 행하는 의식이 다른것은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다시 말씀 드리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의식의 차이가 있을 뿐이란 말씀입니다. 음식을 차리고 절을 하는 것이 유교의 의식이듯이 음식을 차리지 않고 절을 하지 않는 것은 우리 기독교의 의식입니다. 타 종교인이 자기가 신봉하고 있는 종교의 의식을 따라 제사를 지내는 것이 당연하듯이 우리는 기독교인이기 때문에 기독교 의식을 따름은 너무나 당연한 이치가 아니겠습니까?

제사에 대한 철학적 의미로는 과거지향적인 순환론적 사고입니다. 역사적으로 원래 조상숭배는 없었고, 훌륭한 왕에게만 제사를 드릴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 평민도 자신과 자신의 조상을 자랑하기 위해 제사 드릴 수 있도록 본질이 왜곡된 것이다.

그리고 제사는 계급차별적 의미가 있습니다. 과거 선비만이 드릴 수 있는 것이었으며 일반 평민과 천민에게는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왕권에 의해 교육적으로 강요된 것입니다. "제사를 받는 훌륭한 사람이 되어라"는 식으로요...

후대에 생겨난 추가된 내용을 볼까요? 제사로서 돌아가신 부모를 잘 모시면 자손이 복을 받고, 재액이나 재앙을 막을 수 있다고 믿는 동기가 있었습니다. 죽은 자(조상을 귀신으로 봄)를 대상으로 한 신앙이요(신앙적인 속성), 결과적으로 그들에게 예배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상숭배가 되는 것입니다-후기에 생겨남. 이것은 십계명중 1계명(다른 신을 섬기지말라), 2계명(어떤 모양으로도 우상을 섬기지 말라)에 어긋난다.

사후 인간영혼은 즉시 하나님께로 돌아갑니다. 아니면, 영원히 지옥에서 버림받게 되는것이죠. 귀신이 되어 세상에 머물 수 있는 존재가 아닌 것입니다. 그리고 죽은 자를 인격체로 볼 수 없습니다. 죽은 자와의 관계에서는 덕이나 효등을 적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제사를 지내지는 않으나 대신 "추도예배"라는 것을 드리기도 합니다.
교계에서는 추도예배를 효과적으로 드리기 위해 "모범예식안" 같은 것도 만들어 지키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마저도 절만 하지 않을 뿐 제사와 별반 다를 것이 없습니다.
물론 절을 하느냐 마느냐는 경배의 문제가 대두되는 것이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조상숭배의 전통에서 비롯된 풍습을 형식만 조금 바꾸어서 굳이 행할 필요가 있을까요?

어떤 사람들은 크리스마스 행사가 많은 부분에서 비기독교적이라고 해서 산타 클로스와 마리아는 배제시키고 아기 예수만 경배합니다. 그렇다고 그가 성경적인 올바른 전통에 서 있는 것일까요?

어떤 사람들은 부활절 달걀이 잘못되었다고 해서 색칠한 달걀을 주지 않는 대신 부활절 카드를 만들어 기념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그가 바빌론 신비종교의 풍습에서 벗어난 것일까요?

물론 가족들끼리 모여서 고인의 덕을 기리며 그를 추억하고 그가 못다한 일을 대신 이루자고 다짐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굳이 조상숭배의 관습을 따라 명절에 형식만 조금 바꾼 제사의 예를 치를 필요가 있겠습니까? 한번쯤 곰곰히 생각해 봐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제사가 끼치는 영적인 나쁜 영향

많은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행하는 제사는 우상숭배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미풍양속이라 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첫째, 이미 앞에서도 밝혔듯이 이 조상신숭배의 제사의식은 본래 우리 민족 고유의 것이 아니다. 우리 민족 고유의 제사의식은 유일신 하나님을 숭배하는 제사의식이었을 뿐이다. 후대에 조선 중기에 와서야 오늘날과 같은 조상신숭배의 제사의식이 유학과 샤마니즘의 영향으로 민간에 유행하게 되었으므로 사실 이 조상신숭배의 제사의식은 그 역사가 그리 길지 못하다.

둘째, 미풍양속이라 하면 그로 인해 우리에게 어떤 좋은 영향이 있어야 하겠는데, 사실 이 제사제도로 말미암아 우리 민족은 역사적으로 어떤 좋은 영향을 받아왔던가?
물론 이것은 쉽게 말할 수 없는 일이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건데, 이 제사제도는 우리 민족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도 많은 사람들이 이 제사제도로 말미암아 고통을 당하는 일이 많다. 우리 한국인들은 대체로 이 제사의식을 행하는 데 있어, 하나의 미풍양속을 행한다고 생각하기보다는 그저 내려오는 전통을 무비판적으로 받아 행할 뿐이며, 또한 남의 이목을 두려워하거나 귀신의 저주를 면해보려는 생각에서 이 의식을 행할 뿐이다.

이러한 조상신숭배의 제사의식은 우리에게 영적으로 다음과 같은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첫째,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십계명 가운데 제 2계명을 어기게 한다. 제사에는 본래 신주(神主)라는 것이 있는데, 이 신주가 분명히 우상에 속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앞에 절을 하는 것이며, 또한 그때 우리의 마음은 복을 비거나 저주를 면해보려는 마음이기 쉽다. 그러므로 이것은 분명히 우상숭배의 영적인 죄에 해당한다(출20:4-5).

둘째, 귀신의 존재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한다. 귀신은 타락한 천사들인데, 이 제사제도는 귀신은 바로 돌아가신 우리의 조상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못하게 하거나 가볍게 여기도록 만들며, 또한 우리로 하여금 쉽게 귀신들과 접촉하도록 만드는 나쁜 영향을 끼친다. 성경은 우리가 귀신과 접촉하는 일을 절대 금하고 있다(신18:11-12, 고전10:20).

셋째,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눈을 가리우는 나쁜 영향을 끼친다.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 인간이 죽고 나면 분명히 하나님의 심판이 있게 되며(히9:27), 그 심판 후에는 천국과 지옥으로 갈라져 들어가게 되고 이 세상과는 완전히 단절된다고 가르치는데(삼하12:23), 이 제사제도로 말미암아 우리는 그 말씀을 믿지 못하게 된다. 조상숭배 사상의 제사의식에 따르면 사람이 죽고 나서도 그 귀신은 계속적으로 산 사람과 비슷하게 생활하며 산 사람과 교제할 수도 있다고 가르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심판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게 하는 나쁜 영향을 끼친다.

 


고객센터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기독정보넷공식트위터 Copyright © cjob.co.kr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